국민은행 KB청년도약계좌 7월 신청방법 및 조건 총정리
안녕하세요. 정부에서 공약을 내걸었던 국민은행 KB청년도약계좌가 6월 15일에 시작되어서 매월 가입을 할 수 있는 청년적금 상품을 출시했습니다. 조건 및 어떻게 신청해야 할까요?
7월 국민은행 KB청년도약계좌는 7월 3일부터 7월 14일까지 출생 연도 상관없이 가입신청을 받는다고 합니다.
11개 시중 은행 청년도약계좌 취급 어플로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 비대면으로 신청하면 되고,
신청 후 은행 앱에서 연령 조건, 금융소득종합과세자 해당여부 등을 확인한 뒤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정부가 청년의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조건을 충족하는
만 19세~ 34세의 청년(군필자인 경우 병역을 이행한 기간을 빼고 계산한 나이)이 매월 70만 원씩 5년간 적금을 하면 연 소득에 따라 정부기여금(이자) 및 비과세혜택을 주는 상품을 출시했습니다.
시중은행 중 1위 KB국민은행 KB청년도약계좌를 보시면

위 조건을 보다시피 개인소득이 총급여가 7,500만 원 이하이거나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인 경우 및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으로 중위소득 180% 이하에 해당하는 사람이므로 아래 표도 같이 확인을 해주셔야 합니다.
22년 총급여가 6,000만 원 ~ 7,500만 원 이하인 청년들은 정부기여금은 못 받지만,
은행 이자와 비과세 혜택은 받을 수 있다.

제외대상을 알아보겠습니다.
- 가구원 소득 중위소득 180% 초과인 경우
- 총 연 수익이 7,500만 원 초과인 경우
- 직전 3년 동안 1회 이상 금융소득(이자소득 + 배당소득) 합이 2,000만 원 초과한 경우
- 소득이 없는 무직자 (하지만 작년에 근로하다 퇴사한 무직자는 가능)
- 4대 보험 미가입 및 세금 미신고 아르바이트생 (소득증명이 불가능) , 세금신고를 했다면 가능
- 위와 같은 조건 미충족할 시 제외

정부기여금 소득별 혜택
매월 개인 소득 수준에 따라서 정부기여금을 차등 지급을 하는데 조건은 위 표와 아래 목록을 참고하세요.
-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인 경우 : 납입액 40만 원까지 6,0% (월 2,4만 원)
- 총 급여 2,400 ~ 3,600만 원 이하인 경우: 납입액 50만 원까지 4.6% (월 2.3만 원)
- 총 급여 3,600 ~ 4800만 원 이하인 경우 : 납입액 60만 원까지 3,7% (월 2.2만 원)
- 총 급여 4,800 ~ 6,000만 원 이하인 경우 : 납입액 70만 원까지 3.0% (월 2.1만 원)

반응형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책자금 개인사업자도 가능할까? 총정리 (19) | 2024.02.22 |
---|---|
삼성전자 2분기 잠정 실적발표 어닝쇼크일까 바닥일까 총정리 (8) | 2023.07.07 |
새마을금고 예적금 인출사태 중도해지 재예치 총정리 (10) | 2023.07.06 |
누구나 따라하기만 하면 저축할 수 있는 방법 (42) | 2023.04.08 |
전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심화.. 왜 전쟁때문일까? (3) | 2023.04.06 |
댓글